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정월대보름 음식 오곡밥 부럼깨기 이유

    정보 2022. 2. 15. 04:15

    정월대보름 음식 오곡밥 부럼깨기 이유

    정월 대보름(正月大-)은 한국의 전통 명절로 음력으로는 1월 15일 입니다. 설날 이후 처음 맞는 보름날로 상원, 혹은 오기일(烏忌日)이라고 하는데요. 어찌보면 조상들은 설날보다 더 성대하게 지냈던 명절로, 보통 그 전날인 14일부터 행하는 여러가지 풍속들이 있습니다.

     

     

    원래는 설날부터 대보름까지 15일 동안 축제일이었으며, 이 시기에는 빚 독촉도 하지 않는다는 말이 있었을 정도로 옛날에는 큰 축제였다고 합니다. 이보다 좀 더 옛날에는 정월 대보름 이튿날을 실질적인 한 해의 시작으로 여기지 않았을까 하는 설도 있습니다. 새 학년이 시작하는 날은 3월 1일이지만 3.1절이 있어 본격적인 새학기는 3월 2일부터 시작되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정월대보름 음식 오곡밥 부럼깨기 이유

    정월대보름 음식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게 오곡밥이 아닐까 싶습니다. 오늘날의 음식과 비교하면 보잘것 없다고 할 수도 있지만 전통 사회에서는 겨울철에 구할 수 있는 음식거리를 모두 동원하여 잘 먹고 노는 날이 대보름이었다고 합니다. 견과류가 그렇거니와, 온갖 묵나물도 당시로서는 입맛을 돋구는 좋은 음식이었을 것 입니다. 대보름에 온갖 음식을 해서 많이 먹는 것은 곧이어 다가올 농사철에 대비하여 영양을 보충하자는 뜻도 있었다고 합니다.

     

    •오곡밥(찰밥): 찹쌀, 기장, 수수, 서리태, 적두를 섞은 풍년을 기원하는 잡곡밥. 왜 굳이 오곡밥이냐면 과거 가을 추수 때 가장 잘 자라던 곡식들을 모아 한 밥 공기에 담으니 다섯 가지의 곡식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했기 때문 이라고 합니다. 일반 쌀이 아닌 찹쌀을 쓰기 때문에 밥물을 일반 밥을 할 때보다 적게 넣어야 한다고 해요.

     

    대보름 전날에는 찹쌀, 조, 기장, 붉은팥, 검정콩등 다섯 가지 이상의 잡곡을 섞어 오곡밥을 지어 먹으며 한해의 액운을 막고 풍요를 기원 했다고 합니다.

     

    농진청에 따르면 하양색의 찹쌀은 성질이 따뜻해 소화기관에 좋으며 비타민E를 함유해 피부 노화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는 항산화 기능이 있다고 하고요.

     

    노란색인 조와 기장은 베타카로틴이 풍부하고 쌀만 먹었을때 부족한 식이섬유와 무기질, 비타민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붉은팥과 검정콩 껍질에는 적색 색소인 안토시아닌이 풍부한데요, 안토시아닌은 로돕신의 재합성을 촉진해 눈건강 유지와 콜레스테롤 억제에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부럼깨기 : 정월대보름 음식 하면 또 생각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이 견과류일 텐데요. 설날 아침에 떡국을 먹음으로써 나이를 먹는다면, 정월대보름에는 만사형통과 무사태평을 기원하며 아침 일찍 부럼을 나이 수 만큼 깨물어 먹는 관습이 있습니다. 이를 '부럼깨기'라고 하는데 부럼을 깨물면서 부스럼이 나지 않도록 비는 관습이 여전히 남은 것 입니다.

     

    실제로 견과류는 불포화 지방산이 많고 영양소가 풍부하기 때문에 건강에 좋으며, 적은 양으로도 높은 칼로리를 섭취할 수 있는 견과류를 먹음으로써 건강을 챙길 수 있기에 이러한 관습이 남은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영양적인 문제와는 별개로 깨먹는다는 상징성 때문에 견과류 중에서도 과피가 남아있는 견과류에 집착하는 습속도 남아있다보니 정월 대보름날에는 껍질이 남아있는 견과류가 정월대보름용으로 많이 유통된다고 하네요. 개중에는 품질이 낮지만 껍질이 남아있다는것 때문에 되려 더 비싸게 바가지 씌워 팔리는 물건도 많이 보인다고 합니다.

     

    진채(陣菜): 묵은 나물이라는 뜻. 구체적으로 박, 버섯, 콩, 순무, 무잎, 오이, 가지껍질 등을 가리키는데, 여름에 더위를 타지 말라고 해당 나물을 준비했다는 조선시대의 기록이 있다고 합니다. 보통은 열아홉 가지를 준비하지만 충분치 않다면 세 가지 정도로 줄어들기도 한다네요. 진채에 포함된 나물 외에 호박잎, 도라지, 콩나물 등을 쓰기도 합니다.

     

    귀밝이술(이명주): 이른 아침에 부럼을 깨는 것과 동시에 찬 술을 마시는 관습. 이름처럼 귀가 밝아지고 귓병을 막아주며 1년간 좋은 소식만을 듣기를 바란다는 희망을 주기 위한 술이라고 합니다. 술이긴 하지만 아이들에게도 주기도 한다고 하네요.

    팥죽: 정월 대보름에도 팥죽을 먹는다고 합니다. 동지 때와 유사하게 악귀를 쫓아내기 위해 먹는 것이며, 오곡밥을 만들 때 있는 팥과 병행해서 만들 수도 있습니다.

     

    정월대보름엔 액운을 막는 의미로 불을 피우는 행사가 많습니다. 달집태우기 라고도 하는데, 간단하게 말하면 엄청나게 큰 캠프 파이어로써, 시청이나 군청 단위의 지자체에서 하기 때문에 규모가 상당합니다. 하남의 경우 미사리 근처 억새밭을 통째로 태우며, 제주에선 진짜로 오름 하나를 태웠다고 하네요.

    쥐불놀이는 한국의 전통민속놀이로 정월대보름 전날에 논둑이나 밭둑에 불을 지르고 돌아다니며 노는 놀이 입니다. 들판에 나가 작은 구멍을 여러 개 뚫어 놓은 깡통에 짚단 등을 넣고 불을 붙여 빙빙 돌리다가 던져놓아 논, 밭의 잡초를 태워 해충이나 쥐의 피해를 줄이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습니다.

    상징적으로 액운과 재앙을 태워준다는 염원을 담아 쥐불을 회전시킵니다. 당연히 사람이 맞으면 매우 위험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며, 이 때문에 현대 사회에서는 점차 드물어져가고 있습니다. 요즘에는 LED 쥐불놀이도 있다고 하네요.

     

    옛날에는 깡통 대신 마른 쑥을 뭉쳐서 묶은 쑥방망이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불을 붙여 보름달을 연상케하는 원을 그리며 돌리는 것은 깡통이 들어오기 전엔 쑥방망이를 돌렸다는 설과, 깡통이 들어오면서 돌리는 형태로 바뀌었다는 설이 공존하나, 현대에 들어 행해지고 있는 쥐불놀이의 형태의 유래에 대해서는 제대로 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서 정확한 유래는 알수 없다고 합니다.

     

    천문학적으로는, 정월 대보름은 "大보름"이 아닐 수도 있다고 합니다. 보름달은 한 달에 한 번 뜨게 되는데, 정월 대보름에 뜨는 보름달이 가장 크려면, 그 때, 보름달이 지구에서 가장 가까워야 합니다. 그러나 정월 대보름에 뜨는 보름달이 지구에서 가장 가까울 때도 있지만, 가장 멀 때도 있다고 해요.

     

    그래서 정월 대보름은 "大보름"이 아닐 수도 있다고 합니다. 음력 새해를 시작하고 맞이하는 첫 번째 보름달이기에 "大보름"이라고 부르는 것일 뿐, 이와 마찬가지로, 추석에 가장 큰 보름달이 아닐 수도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보름달이 가장 클 때를 슈퍼문이라고 합니다.

     

    설날(새날)을 맞이하고 첫 번째 보름달이기에 대보름 즉, 큰 보름이라는 의미가 있다고 본다고 합니다. 큰 형(맏형,大兄,중국식 표기), 큰 아버지, 큰 할아버지처럼 이 대(大)를 큰,맏이의 의미로 새해 첫 보름달로써 농사의 시작일을 의미하는 날로 볼 수 있겠습니다.

     

    정월대보름은 15일 전 연휴로 존재하는 설날과 달리 휴일이 아니기에 인지하지 못하지만, 이 날 만큼 전통 풍속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온 명절은 흔치 않다고 합니다. 쉬는날은 아니지만 명절로 인식되고 있는 정월대보름에 먹는 음식 오곡밥 부럼깨기 하는 이유, 풍속, 놀이등에 대해 같이 알아봤습니다. 다들 둥근 보름달 처럼 풍성한 한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자료출처 : 위키백과, 나무위키

    댓글